티스토리 뷰

성경 - 구약/느헤미야

느헤미야 소개 - NEHEMIAH

리틀 헤밍웨이 2020. 3. 23. 15:52
반응형

 

저자  느헤미야 저작 연대  B.C. 420년경으로 추정
기록 장소  예루살렘 기록 대상  이스라엘 백성

핵심어
및 내용

 1. 지도자 느헤미야   2. 말씀의 중요성
 핵심어는 '목표'와 '재건'이다. 느헤미야는 하나님을 중심으로 인생의 비전을 반영하며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목표를 갖고 있었는데, 그것은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는 일이었다.

 

 

주전 5-4세기 페르시아 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에스라, 느헤미야, 에스더는 연대로 봤을 때 구약에서 거의 마지막인 사건들을 다룹니다. 이 세 권의 책은 이스라엘 포로기이후 생존자와 후손들이 어떻게 신앙공동체를 이루고 각자 처한 곳에서 어떤 모습으로 살아갔는지를 잘 보여줍니다. 에스라와 느헤미야가 본래 한 권이었다고 보는 견해가 주류이나 그렇지 않다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그러나 느헤미야가 시대와 사건적으로 에스라서와 연결되어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두 사람은 동시대 사람으로, 에스라가 종교지도자라면 느헤미야는 평신도 지도자였습니다. 그들은 포로기 이후 예루살렘으로 귀환한 공동체에 개혁을 실행한 파트너라고 할 수 있습니다.

느헤미야는 페르시아의 아닥사스다 왕(464-423 B.C.) 제 20년인 주전 445년에 성벽이 무너졌다는 소식을 듣고 보수를 위해 예루살렘 총독으로 자원합니다. 페르시아 왕의 술관원이라는 고위직을 마다하고 고국의 어려움을 돕기 위해, 흔히 말하는 한직으로 자원을 한 셈입니다. 느헤미야라는 이름은 ‘여호와께서 위로하신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는 성벽을 보수함으로써 이름의 의미대로 유다백성에게 큰 위로를 주는 인물이 됩니다. 느헤미야에는 그가 직접 쓴 1인칭으로 된 회고록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느 1-7장; 11-13장). 에스라, 느헤미야의 저자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너무나 의견이 분분하여 결론짓기 힘들지만, 적어도 회고록 부분은 본인들이 기록한 것이 확실합니다.

느헤미야는 성벽 재건을 다루는 1-7장과 영적 개혁을 다루는 8-13장 두 부분으로 나뉘어집니다. 성벽재건부분은 전체가 느헤미야가 1인칭으로 쓴 회고록으로 되어 있습니다. 성벽이 완성되는 52일 동안의 외적, 내적 방해요소와 박해에 대해 다루며 그 모든 것을 돌파해나간 느헤미야의 리더십이 돋보입니다. 산발랏, 도비야, 게셈으로 대표되는 외부 반대세력들은 모반, 위협, 조롱, 협박, 심리적 정신적 압박, 뇌물거래, 음모, 술수, 사기저하, 유혹, 비난, 거짓 소문, 속임수 등 온갖 책략을 동원하여 성벽보수를 방해하는 공작을 폅니다. 느헤미야의 대표 정책은 “우리가 우리 하나님께 기도하며 그들로 말미암아 파수꾼을 두어 주야로 방비하는데”라는 4장 9절 말씀에 잘 드러납니다. 느헤미야는 기도와 현실적 대안으로 그들에게 맞섭니다. 하나님께 100% 의존하는 믿음과 인간의 책임감 100% 최선이 만난, 현실에 뿌리 박은 그의 믿음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좋은 믿음의 본이 됩니다.

8-13장은 제사장 에스라와 함께 느헤미야의 개혁을 다룹니다. 개혁은 하나님의 말씀인 율법책을 낭독하고 가르침으로 시작됩니다(8:8). 백성들은 언약을 갱신하고 율법의 말씀에 따라 이방여인들과 통혼을 하지 않고, 안식일과 안식년을 지키기로 하고, 성전세를 내고, 제단에 사용할 나무를 바치고, 성전에서 일하는 제사장과 레위인들을 후원하기로 다짐하고 헌신합니다.

느헤미야는 총독생활 12년을 마치고 바벨론으로 돌아갔다가 두번째 임기를 수행하기 위해 주전 433년에 다시 예루살렘에 돌아옵니다. 그는 백성들이 다짐한 언약들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안식일을 어기고, 성전을 더럽히고, 레위인들을 돌보지 않고, 통혼하는 모습들을 발견하고 재개혁을 단행합니다. 통혼을 파기하여 민족의 단일성을 보존하고,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의 반열을 다시 세우고, 예배를 회복하고 안식일을 성수하는 등 개혁하는 모습으로 느헤미야서는 끝이 나게 됩니다.

느헤미야는 언약갱신의 중요성, 말씀의 중요성, 기도의 중요성, 리더십의 중요성, 예배 회복의 중요성 등 많은 영적인 원리를 가르쳐줍니다. 또한 느헤미야의 개인적인 리더십을 통해서도 배울 점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느헤미야의 마지막 장은 귀환한 이스라엘 공동체의 초라한 모습과 그들의 거듭되는 영적 실패를 보여줍니다. 느헤미야 개인은 하나님께 신실하지만, 포로기 이후 귀환한 공동체는 하나님 앞에 그렇게 신실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느헤미야는 언젠가 백성들이 하나님 앞에 온전히 돌아오고 순종할 날을 고대하게 만듦으로 마치게 됩니다. 메시야가 오셔야 그러한 온전한 회복이 이루어질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느헤미야는 메시야의 그림자이며, 율법의 모든 요구를 완성하실 메시야를 고대하게 만드는 책이기도 합니다. 느헤미야서를 묵상하며 각자의 삶에 적용할 점들을 찾아보기 바랍니다.

[출처] - 드라마바이블

반응형